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신소재공학 산업공학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신소재공학과보다 산업공학과가 평균적으로 월급이 더 높던데 사실인가요? 그리고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신소재공학과보다 산업공학과가 평균적으로 월급이 더 높던데 사실인가요? 그리고 산업공학과를 나오면 보통 어떤 분야로 취업을 하나요?
님이 본 그 통계가 근거가 뭔지 모르겠는데
솔직히 처음 듣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솔직히, 산업공학과가 취업 자체가 신소재보다 안될텐데요?
그런 데이터는 안보나요?
산업공학과 취업잘되던 건 한 30년 전 이야기입니다.
여봉 문제는 전공보다는 어디에 취업했느냐가 문제고
산업공학과보다는 신소재쪽이 대기업에 취업문이 넓습니다.
그러면 결론도 신소재쪽이 더 높을 가능성이 크죠.
솔직히 입결도 신소재가 훨씬 더 높은데.
위에 변호사 답변...산업공학과 취업 분야에서 품질관리 등등...
풉..
이건 전형적인 문과나부랑이가 전공 학과 설명 보고 같다 붙인 겁니다.
공대와 공학에 대해 알면 저런 소리 못하죠.
그 취업분야들은 다른 공학 나와도 다 가는 분야입니다.
특히 품질관리는 보통은 재료공학(신소재공학)과나 화학과가 가는 분야죠. 실업무 자체가 그 전공들에 관련된 업무들이라서.
하여간 취업 분야가 다른 전공들이 다 가는 분야들만 있다는 것은 산업공학과가 애매한 전공이라는 뜻이죠.
애매한 전공은 활황기때는 취업되지만, 불황기때는 취업이 안되는 전공인 겁니다.
불황때는 애매한 전공보다는 확실한 전공을 뽑게 되니까요.
하여간 데이터 근거가 궁금하네요. 생전 처음 듣는 소리라.
내가 위에 적은 아마도 신소재가 더 높은 연봉을 받을거다라는 것도
솔직히 그냥 주변을 보고 하는 말이지 통계가 있어서 하는 말은 아닙니다.
한국내 데이터를 본적이 없어요. 기업별 연봉 정보는 알아도.
결국 취업 기업의 차이가 연봉차인 거고, 어느 분야를 더 뽑느냐를 봐야 하는데...
산업공학과보다는 재료공학, 신소재 공학이 더 취업이 잘 됩니다.
단, 계열별 연봉차는 국내 데이터가 있는데
다른 계열 단과대보다는 공대가 확실히 높죠.
전공별 데이터는 국내것은 본적이 없고, 미국 것만 본적 있는데,
미국 데이터에서는
석유화학, 우주공학이 높고 다음이 기계공학, 재료공학(신소재)였고 산업공학계열은 그보다 낮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