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으로 인한 배선연결 전기지식이 없어 용어가 바르게 작성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양해부탁드려요.전문가분들
누전으로 인한 배선연결 전기지식이 없어 용어가 바르게 작성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양해부탁드려요.전문가분들
전기지식이 없어 용어가 바르게 작성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양해부탁드려요.전문가분들 지나치지 마시고 꼭 도움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아래 사진은 작업 전 사진입니다.)1) 사진의 3번 누전차단기가 반복적으로 내려가는 증상으로전기기사를 불러 수리를 받았습니다3번 전열차단기는 방3개/거실전체/주방일부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었습니다1번(전등), 2번(전열), 4번 차단기(A/C) 와 다르게 3번(전열) 차단기에는 전선이 두개씩 총 4개가 연결되어 있던 상황입니다(**파란색 동그라미로 사진에 표시)트립이 되는 3번 누전차단기의 전선 4개 중 좌 우 1개씩의 전선 두개를 뽑고 두개의 전선만 연결하여 차단기를 작동시켜보니 차단기가 트립되지 않더군요. 그렇다면 4개의 전선 중 2개의 전선이 문제가 있다고 보여져문제가 되는 2개가 연결된 콘센트를 찾았고 수리기사님이 말씀하신 바로는 전선이 싱크대 밑 콘크리트 바닥에 파 묻혀 눌려있어전선교체 작업이 불가하다고 하셨습니다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듯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업을 해주셨습니다. 저에게 동의를 구하신 것도 아니고 이것이 최선인양 그대로 진행하셨습니다.아래 사진은 작업 후 사진입니다.3번 누전차단기에 연결되어 트립을 일으킨 두개의 전선은 절연시켜 안쪽에 말아 넣으신 것 같습니다.그래서 방3개/거실/주방일부 콘센트와 연결되어 있던3번 누전차단기에는 현재 방1개 콘센트에만 연결되어 있습니다.기존 3번 누전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던 나머지 콘센트들은 정상작동하고 있던 2번 누전차단기의 콘센트(주방일부/세탁실 겸 보일러실)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전선을 연결하셨습니다.저는 전기에 전자도 모릅니다 그래서 더 불안한 것 같아요ㅠㅠ 이렇게 하나로 다 연결해놓으면 전력량이 많을 경우 과부하가 일아나지 않느냐 화재의 위험이 있는것 아닌지 여쭤보니 안전하다. 위험요소가 있을경우 차단기가 내려가니 걱정하지 말라고만 하십니다. 여름철 에어컨은 켤 수 있는거냐 여쭤보니 A/C 전력은 따로다 라고 말씀하셨는데오늘 제가 테스트 중 알게된 사실은 A/C 누전차단기도2번 누전콘센트에 연결된 것 같더라고요. A/C 누전차단기를 수동으로 트립시켜봐도 해당 콘센트에 전기 는 그대로 살아있고 2번 누전차단기로 테스트하니 반응을 하네요. 허허그렇다면 현재 작은방1개의 콘센트 4구만 제외하면 저희집 모든 콘센트는 2번 누전차단기에 연결되어있다고 보면 정확한거겠죠?그렇다고 볼 때20A 4400W 전력이상을 소모하면 안되는건지요? 전기는 최소한만으로 사용을 한다 하더라도 지금 이렇게 수리가 된 부분이 안전하긴 한건지 의구심이 듭니다.기존 전선에 이렇게 연결하는게 위험성은 없는걸까요?비용이 적게 든것도 아녀요.55만원 들었습니다.지금에라도 다른 기술자 분을 불러서 전기공사를 다시 해야하는건지 판단이 안섭니다.지금 이 수리 방식이 전선교체가 불가피할경우 현장에서는많이 활용하는 방식인지요? ㅠ저좀 도와주세요

상황이 잘 이해가 되질 않아서 한참을 몇 번이나 읽어 보았습니다.
3번 차단기가 문제가 있어서 3번 차단기의 배선은 사용하지 않고,,(뽑아놓고)
2번 차단기의 콘센트에 3번 차단기에 연결되어 있던 것을 연결 하신것으로 이해됩니다.
--> 결론적으로 가능한 방법 입니다만,, 말씀 하신것 처럼 2번 20A, 3번 20A 를 2번으로 다 연결하였으니..
3번 20A 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되었네요.. 맞나요?
근데 조금 아쉬운 것은,, 이왕 이렇게 연결할 것이면..
"콘센트+플러그" (3번 누전콘센트사진) 처럼 할 것이 아니라..
직접 "배선+배선" 으로 하는 것이 더 좋았을 수 있겠습니다.
에어콘 차단기의 경우는 "2번 차단기와 4번 차단기" 을 서로 혼동할 수 있으니..
각각 테스트 해보면서 확인을 해 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지금 차단기의 사진을 보면,, "적색,백색" 이렇게 색상이 구분되어져 있는데..
하나의 차단기에 동일한 색상의 배선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좀 의문 입니다.
보통 옥내 배선을 할때.. 배선의 구분을 위해서 색상을 나누고..
그 색상별로 연결하는데..(적색 하나, 백색 하나) --> 3번 누전 콘센트의 벽속 전선도 보면 "백색+적색"이죠?
이 부분은 한 번 확인해 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내부 전선의 문제로 교채가 어려운 상황이시라면..
문제가 되는 배선만.. 외부로 노출해서 연결하시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벽을타고 천정위로 간다던지.. 아니면 바닥 구석으로 돌아서 간다든지.. 거리가 가까우면 좋겠죠)
그리고 이미 해 보셨을 수 있겠지만.. 제일 간단한 누전 테스트 방법은.. 누전되는 차단기의 모든 전기 사용품을 다 뽑아놓고.. 하나씩 하나씩 연결해 보는 방법이 최선입니다. 보통 콘크리트에 매설된 전기선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드리는 말씀 입니다.
사진과 글자 상으로는 이해의 한계가 있습니다.. 최대한 이해하려고 노력해 답을 드렸습니다만..
제가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