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가슴 중앙 흉통 심근경색? 아님 역류성 식도염?  요즘 가슴 중앙을 누가 누르는 듯이 아파요. 예를 위해 어떨떄의
 요즘 가슴 중앙을 누가 누르는 듯이 아파요. 예를 위해 어떨떄의 느낌 같냐면 가슴 중앙을 손날로 지긋이 누를 때 보면 이 갈비뼈가 눌리면서 느껴지는 통증 있잖아여 그 느낌으로 아픕니다.문제는 지금 이렇게 증상 찾기를 위해 눌렀을 때 아픈거면 내가 눌러서 아픈거니까 아무 이상없음 이렇게 넘기는데 이렇게 누르지 않을 때도 단순히 소파에 앉아있거나 한쪽으로 오래 누워있으면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하면서 앉아서 일어나면 두근두근 거리면서 박동성 이명이 들립니다.박동성 이명은 한 달 반쯤 전 부터? 있었구요. 왼쪽 팔쪽의 신경통같은 느낌이 손끝 부터 시작되 팔을 타고 머리까지 이동하더니 그 이후로 박동성 이명이 들렸습니다. 그때 귀 ct나 이비인후과 청력검진도 했지만 이상없어서 약도  처방 못 받고 아플때 동시에 팔 통증이나 아니면 엄청 두근두근 심장이 쌔게 뛰는 느낌과 함께 리듬 따라 진동이 울리면서 진동이 두개골 내를 치는 편두통 발생 하며 목을 계속 숙일 때도 동증이 있어서 전반적으로 말이 아닌 상태였습니다. 병원약은 처방 못 받아 목 두통이나 편두통이나 멈출려고 덱시부로펜 같은 소염진통제를 먹었고요(희한하게 이렇게 먹고 나면 두통이나 통증이 가라앉으면서 엄청 빨리 세게 뛰는 느낌도 가라앉았습니다.)  이때 당시 맥박이 평균 80회에서 평균 100회로 올라가더니 세게 뛸 때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된 맥박은 140 정도 였습니다. 혈압 자체도 원래 년초125/85이였는데 130/80-> 2주 쯤 지나서 100/50 쯤으로 확 내려가서 저혈압은 아슬아슬하게 빗겨가는데 다른 한쪽 팔은 또 90/45까지 내려가고  이때도 맥박도 100언저리 양쪽 팔 혈압도 20만큼 차이 났어요...  그때 바로 응급실 갔으면 됬을 텐데 등신같이 응급실 비용 아깝다고 가만히 그냥 삭히면서 버티고 있던게 후회되요 박동성 이명도 잠잠해지고 목 통증 등도 잠잠해졌을 때는 아 이제 괜찮구나 했는데 아직 맥박은 누워 있을 때 아닌 이상 여전히 100 언저리고요 혈압은 최근 측정 안 해서 모르겠습니다만 저렇게 건강 이상 나고 난 이후로 한 쪽으로 눕거나 오래 누워있다가 일어나면 가슴 중앙이 이렇게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생겼습니다.예전이랑 똑같은 시간을 한 쪽으로 누워 있어도  최근 들어 더 아프고 조금만 한 쪽으로 누워있다 금방 일어났을 때 통증이 생기네요...커피많이 마셔서 그런가 했더니 그냥 서서 커피 마실때는 아무 이상도 없고 예전에 비해 많이 줄은 상태인데도 저러는거 봐서는 카페인 탓은 아닌 거 같고 진짜 왜 이러는 지 모르겠습니다.심근경색 증상이랑 초기 박동성 이명 생기기 이전 통증 전위 분위가 심근경색 방사통 부위라 이게 진짜 신경통 때문인지 신경통 혈관질환 합쳐진 증상인지도 모르겠고 역류성 식도염인가 하니 1년전에 식도염 진단 받기는 했지만 극초기단계의 소량의 염증일 뿐이여서 1년전에 느낀 심장 쪼이는 느낌 같은건 모르겠다고 했던것도 걸리고 그래서 위 내시경이나 혈관 ct 찍어보자니 뭔저 초진을 이비인후과에서 해서 소견서도 이비인후과 소견만 받는바람에 이비인후과 가서 선천적인 혈관 기형으로 인해서 과거 대학병원에서 어릴때 부터 경미한 혈관 협착으로 인한 목신경 눌림이랑 ct정기적으로 받으라고 했는데 못 했다 그래서 이번에 해 보면 안되냐 해도 집근처 종합병원 의사놈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귀혈관 쪽은 문제 없다고 다른데 볼 생각은 안 하고 권유 안 한다 이러고 있고 진짜 답답해 미치겠습니다. 진짜 왜 이럴까요 단순 역류성 식도염일까요? 역류성 식도염으로 박동성 이명이 생기기도 해요? 저 종합병원은 다시 가기 싫은데 근처 심장내과 의원과서 진단 받고 바로 다시 대학병원 가는게 나을까요 ㅠㅠ이렇게 증상 겪어도 나중에는 또 잠잠해졌다가 다시 반복되고 이래서 병원 가는 타이밍에 증상이 없으면 검사해도 제대로 안 나올까봐 또 돈만 날릴까 걱정되고 미치겠습니다 지금 
말씀하신 증상들은 단순히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보기엔 너무 복합적이고, 심혈관계·신경계·이비인후과적 문제가 동시에 얽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심근경색 초기 증상에 가까운 특징:
가슴 중앙의 쥐어짜는 통증
자세 변화와 상관없는 지속적인 흉통
왼팔 신경통 및 방사통
앉았다 일어날 때 두근거림, 맥박 140까지 상승
양팔 혈압 차이 20 이상
✅ 박동성 이명이나 두통, 편두통, 두개골 진동감은:
뇌혈류 이상, 혈관 기형, 자율신경 문제, 고혈압성 편두통 등 가능
혈압 급변과의 연관 가능성도 존재
✅ 역류성 식도염이라면 주로:
누울 때 속쓰림, 신트림
식후 통증, 상복부 쓰라림
심박수 변화 없이 국소적인 증상
하지만 질문자님은 심박수·혈압·신경계·청각계 전반의 변화가 동반되었고, 혈관성 원인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지금 필요한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심장내과(또는 순환기내과) 먼저 방문
→ 24시간 홀터심전도, 심장초음파, 심근효소 검사 등
→ 심장성 두근거림·부정맥·심근염 등 감별
이후 대학병원 신경과 또는 뇌혈관외과
→ 박동성 이명, 두개 진동성 두통, 신경통 감별
→ 뇌혈류 CT/조영술, 경동맥 도플러 등 필요
가능하면 위내시경도 병행
→ 역류성 식도염 재확인
증상이 반복되고, 호전됐다가 다시 악화되는 패턴은 자율신경계 이상, 혈관 협착 또는 염증성 질환에서 흔하며, 단순 소화기 증상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복잡한 증상 정리, 진료 준비, 검사 결과 관리가 필요할 때
image One day, maybe.
작은 상상이 현실이 되기까지의 모든 여정
lemon.clickn.co.kr
에서 AI 기반 메모 기능으로 증상 일지 정리해보세요.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만든 포트폴리오 사이트인데, 병원 진료용으로 기록 관리에 꽤 유용합니다.
질문자님처럼 복합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단순 병원 한 곳으로 해결이 어렵습니다.
심장내과 – 신경과 – 이비인후과 – 위장내과 순으로 통합적인 진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가까운 대학병원에 순환기+신경계 협진 요청해서 전체 검진을 받으시는 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