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성음법이 뭐죠?? 안녕하세요 국어학원에서 훈민정음 창제원리로 백지테스트를 보는데 프린트중 이 내용을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국어학원에서 훈민정음 창제원리로 백지테스트를 보는데 프린트중 이 내용을 모르겠어요 ㅠ 책에도 안나와있던 내용이라 ㅜㅜㅜㅜ 초성중성종성은 또 뭐고 동국정운?은 뭐고 저 솅죵엉젱은 뭐죠 ㅠㅠㅠ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신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여러 답변을 동시에 채택하실 수 있으니, 다른 좋은 답변들도 함께 채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채택은 답변자들에게 큰 격려가 되며, 더 나은 답변을 위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 카페 취캐(취업캐릭터) 매니저입니다. https://cafe.naver.com/jobquest
훈민정음의 성음법(聲音法)은 한글의 자음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한 것입니다.
발음할 때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자음을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성음법은 자음을 만들 때 소리가 나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든 원리입니다.
- ㄱ :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아음/어금닛소리)
- ㄴ :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설음/혓소리)
- ㅁ : 입술을 다문 모양 (순음/입술소리)
기본 자음에 획을 더해서 더 센 소리를 만들었습니다.
한글은 음절 문자로, 한 글자가 초성+중성+종성으로 구성됩니다.
동국정운(東國正韻)은 1448년(세종 30년)에 편찬된 한자음 사전입니다.
- 당시 중국 한자음을 참고하여 우리식으로 정리
'취캐(취업캐릭터)' 카페 가입 후, 질문게시판에 구체적인 질문을 올리시면,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job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