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누군가 보고있을때 더 못된행동을 하는거같아요.. 이래놓고 시간지나면 너무 후회하고 잠잘때마다 생각나고 그래서 너무 힘들어요. 그런데 막상 욱하면 진짜 머릿속에 아무생각이 안나서 안하려고 마음먹어도 몸이 먼저 움직여요ㅠㅠㅠ
욱하는 행동과 이후 죄책감으로 힘들어하시는 모습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이는 충동성 조절 장애 또는 분노 관리 문제의 신호일 수 있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개선 가능합니다!
1. 즉각적인 감정 반응: 타인의 시선이 있을 때 자기방어 메커니즘이 발동해 공격적으로 반응.
2. 뇌 과학 : 감정 조절(편도체)과 이성적 통제(전전두엽) 간 불균형 → "머리 하얘짐" 현상.
3. 후천적 습관 : 과거 비슷한 상황에서 문제 해결 경험이 있다면 반복될 가능성 ↑.
• 욱할 때마다 "STOP"을 마음속으로 외치거나, 손목을 꽉 잡아 신체 신호 차단.
• 물리적 거리 두기: 그 자리에서 10초간 눈을 감고 심호흡 (4초 들이마시기 → 6초 내쉬기).
• 트리거 기록: "누가 비웃을 때", "지적받을 때" 등 유발 상황을 메모해 패턴 파악.
• 대체 행동: 주먹 꽉 쥐기, 손바닥으로 허벅지 두드리기 등 신체적 에너지 발산.
• "내가 지는 거다" → "감정 통제하는 게 이기는 거다"로 사고 전환.
• 타인의 시선을 관심이 아닌 호기심으로 재해석 (예: "저 사람은 왜 날 쳐다보지?").
• 명상/마인드풀니스: 하루 5분이라도 호흡에 집중하는 연습.
• 운동 습관: 달리기, 복싱 등 고강도 운동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해소.
• 행동 후 사과 편지 작성: 직접 전하지 않아도 글로 정리하면 감정 정리가 됨.
• 수면 관리: 7시간 이상 숙면 시 전두엽 기능 회복 → 충동성 ↓.
• 자해/타해 충동, 1개월 이상 일상생활 방해 시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고려하세요.
• 인지행동치료(CBT)는 분노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작은 성공 축하하기 : 오늘 1번 참았다면 스스로 칭찬해주세요. 변화는 점진적입니다.
"당신은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 라고 말해주며 응원해드리고 싶습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채택 한 번 부탁드립니다!! ><{{{._____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