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욱하면 못된행동하는거 어떻게 고치나요 특히 누군가 보고있을때 더 못된행동을 하는거같아요.. 이래놓고 시간지나면 너무 후회하고

특히 누군가 보고있을때 더 못된행동을 하는거같아요.. 이래놓고 시간지나면 너무 후회하고 잠잘때마다 생각나고 그래서 너무 힘들어요. 그런데 막상 욱하면 진짜 머릿속에 아무생각이 안나서 안하려고 마음먹어도 몸이 먼저 움직여요ㅠㅠㅠ
ꕤ 고래티켓 답변 :
욱하는 행동과 이후 죄책감으로 힘들어하시는 모습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이는 충동성 조절 장애 또는 분노 관리 문제의 신호일 수 있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개선 가능합니다!
<원인 분석>
1. 즉각적인 감정 반응: 타인의 시선이 있을 때 자기방어 메커니즘이 발동해 공격적으로 반응.
2. 뇌 과학 : 감정 조절(편도체)과 이성적 통제(전전두엽) 간 불균형 → "머리 하얘짐" 현상.
3. 후천적 습관 : 과거 비슷한 상황에서 문제 해결 경험이 있다면 반복될 가능성 ↑.
<실전 대처법>
1. 3초 룰 (즉시 실행)
• 욱할 때마다 "STOP"을 마음속으로 외치거나, 손목을 꽉 잡아 신체 신호 차단.
• 물리적 거리 두기: 그 자리에서 10초간 눈을 감고 심호흡 (4초 들이마시기 → 6초 내쉬기).
2. 사전 예방 전략
• 트리거 기록: "누가 비웃을 때", "지적받을 때" 등 유발 상황을 메모해 패턴 파악.
• 대체 행동: 주먹 꽉 쥐기, 손바닥으로 허벅지 두드리기 등 신체적 에너지 발산.
3. 인지 재구성
• "내가 지는 거다" → "감정 통제하는 게 이기는 거다"로 사고 전환.
• 타인의 시선을 관심이 아닌 호기심으로 재해석 (예: "저 사람은 왜 날 쳐다보지?").
4. 장기적 훈련
• 명상/마인드풀니스: 하루 5분이라도 호흡에 집중하는 연습.
• 운동 습관: 달리기, 복싱 등 고강도 운동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해소.
5. 후속 조치
• 행동 후 사과 편지 작성: 직접 전하지 않아도 글로 정리하면 감정 정리가 됨.
• 수면 관리: 7시간 이상 숙면 시 전두엽 기능 회복 → 충동성 ↓.
<의료 도움 필요 시기>
• 자해/타해 충동, 1개월 이상 일상생활 방해 시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고려하세요.
• 인지행동치료(CBT)는 분노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작은 성공 축하하기 : 오늘 1번 참았다면 스스로 칭찬해주세요. 변화는 점진적입니다.
"당신은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 라고 말해주며 응원해드리고 싶습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채택 한 번 부탁드립니다!! ><{{{.______) ♥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