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도량형)선정하기: 길이는 모든 영역에 쓰인다고 할 정도로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곳에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물리량인데, 우리나라와 미국처럼 국가마다 다른 단위 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이유가 궁금해서 미터법과 피트를 선정하게 되었다.단위(도량형)의 유래 및 기원 제시하기미터법: 미터법은 18세기 프랑스 혁명 이후 나라마다 각자 다른 도량형을 통일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지구 본초자오선 길이의 4천만 분의 1을 ‘1미터’로 정의하면서 시작되었다.피트 단위: 고대 이집트와 로마 시대의 사람들이 농업과 건축에서 줄이나 자 없이도 손쉽게 거리를 재기 위해 발걸음을 기준으로 삼았다. 단위(도량형)의 역사적 변화 미터법: 처음에는 지구 본초자오선이 기반이 되었으나, 이후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빛의 속도를 기준으로 더 정확히 정의하게 되었다. 현재는 진공 속에서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1m로 정의한다.피트 단위: 중세 유럽에서는 지역마다 발 길이가 달랐으나, 1959년 국제 협정에 따라 1피트 = 0.3048m로 통일되었다.단위(도량형)에 관련한 과학적 질문하기* 왜 미국은 여전히 미터법 대신 피트와 야드를 사용하는가?* 단위 체계의 차이가 국제 과학 협력이나 무역에서 어떤 불편함을 가져오는가?* 피트를 사용하는 나라는 무슨 나라가 있을까?단위(도량형) 종류 찾기* 미터법: 미터(m), 킬로미터(km), 센티미터(cm), 밀리미터(mm) 등.* 야드·파운드법(Imperial system): 인치(inch), 피트(ft), 야드(yd), 마일(mile).단위(도량형) 사용 예시* 미터법: 우리나라 도로 거리 표지판, 교실 크기, 건축 설계도* 피트 단위: 미국의 항공 고도 표시, 건물 높이단위(도량형)의 현대적 정의* 미터(m): 진공에서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 피트(ft): 국제적으로 고정된 환산값으로, 1ft = 0.3048m.단위(도량형) 질문에 대한 답변 찾기* 왜 미국은 미터법을 쓰지 않을까?미국은 이미 산업·경제 전반에서 피트 단위가 정착되어 있는데 이를 미터법으로 변경시키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피트를 사용하는 나라현재 공식적으로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하는 나라는 미국, 라이베리아, 미얀마 세 나라뿐이다. 하지만 라이베리아와 미얀마도 점차 미터법을 채택하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