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국내상장, 해외상장 ETF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해외주식을 처음 시작하려는 사회초년생입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1. 국내상장 etf와
안녕하세요 해외주식을 처음 시작하려는 사회초년생입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1. 국내상장 etf와 해외상장 etf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만약 제가 'TIGER 미국S&P500'을 산다면 국내상장 ETF를 산 것이고, '나스닥100 인베스코 ETF(QQQM)'를 샀다면 해외상장 ETF를 산 것인가요? 그냥 이름으로 구분하는 것인가요?또, ISA 계좌로는 국내상장 ETF만 살 수 있고, 해외상장 ETF는 살 수 없나요?2. 해외상장 ETF를 사는 이유는 달러를 보유함으로써 환차로 이득을 보기 위해서라던데, 국내상장 ETF를 사도 어차피 미국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3. 그렇다면 큰 돈이 아닌 월급으로 투자하는 소액 투자자 입장에서, 달러가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무조건 해외상장 ETF를 하는 것이 맞는 것 아닌가요?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정식등록업체 지식iN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카드
​업계 1위 상담사 늘푸른페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해외주식 투자에 앞서 국내상장 ETF와 해외상장 ETF의 차이, 그리고 ISA 계좌와 환차익, 소액투자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점을 정리 해드리겠습니다.
1. 국내상장 ETF vs 해외상장 ETF
국내상장 ETF: 한국(코스피, 코스닥 등)에 상장된 ETF입니다.
예: TIGER 미국S&P500은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ETF로, 원화로 거래하며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합니다.
해외상장 ETF: 미국(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등)이나 기타 해외 거래소에 직접 상장된 ETF입니다.
예: Invesco QQQM(나스닥100 인베스코 ETF)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ETF로, 달러로 거래합니다.
이름만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상장 거래소(한국/해외)와 거래 통화(원화/달러)로 구분합니다.
ISA 계좌:
국내상장 ETF만 매수 가능합니다. 해외상장 ETF는 ISA 계좌로 직접 투자할 수 없습니다.
2. 환차익과 달러 자산
해외상장 ETF를 사면, 직접 달러로 거래하고, ETF 내 자산도 달러로 운용됩니다.
국내상장 ETF도 미국 주식에 투자하지만, 원화로 거래합니다. 이 경우엔 ETF 운용사가 투자한 미국 주식의 수익과 환차익(달러-원 환율 변동)이 ETF 가격에 반영됩니다.
즉, 국내상장 ETF를 사도 간접적으로 달러 자산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소액 투자자, 환율 전망 시 선택
달러 강세(환율 상승)를 기대한다면,
해외상장 ETF는 직접 달러로 투자하므로 환차익을 바로 체감할 수 있습니다.
국내상장 ETF도 환노출형(환헤지 미적용) 상품이라면 환차익이 ETF 가격에 반영됩니다.
소액 투자자라면 국내상장 ETF가 거래 편의성(원화 거래, 낮은 최소 단위, 거래시간 등)에서 유리합니다.
해외상장 ETF는 달러 환전, 해외주식 거래 수수료, 세금(양도소득세 22%) 등 추가 비용과 절차가 있습니다.
ISA 계좌 활용 등 절세 목적이면 국내상장 ETF만 투자 가능합니다.
정리해드리자면!
TIGER 미국S&P500 = 국내상장 ETF, QQQM = 해외상장 ETF가 맞습니다.
ISA 계좌로는 국내상장 ETF만 매수 가능.
국내상장 ETF도 환차익이 ETF 가격에 반영되므로, 달러자산 효과가 있습니다.
소액 투자자라면 국내상장 ETF가 더 편리하고,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달러 강세에 확신이 있고, 직접 달러자산을 보유하고 싶다면 해외상장 ETF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투자 목적, 거래 편의성, 세금, 계좌 활용 등 본인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채택 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